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Bimonthly
  • ISSN : 2289-0971 (Print)
  • ISSN : 2289-098X (Online)
  • KCI Accredited Journal

Editorial Office


  1. 서울기술연구원 도시인프라연구실 (Department of Urban Infrastructure Research,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2.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물환경평가연구과 (Water Quality Assess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전략기획과 (Research Strategy and Planning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4.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Water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yanobacteria, Hyperspectral, Inherent optical properties, Phycocyanin, Remote sensing

1. Introduction

국내 수계에서 여름철만 되면 제기되는 녹조 문제는 기후변 화뿐만 아니라 도시화로 인한 물환경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나 발생과 동시 빠른 대처가 요구되는 유해 남조류(Microcystis sp., Anabaena sp.,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 등)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있으나, 측정 지점을 벗어난 공간에서의 거동은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원격모니터링 기법을 활용하면 단시간에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정량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ukata, 2013; Palmer et al., 2015).

이에, 국내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14년부터 녹조의 시공간적 분포 및 거동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원격모 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광범위한 수계를 과학적으로 관리해 오고 있다. 2014년에는 북한강수계 의암호를 대상으 로 원격탐사 기법의 국내 호소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NIER, 2014), 2015년에는 영상으로부터 클로로필-a(Chlorophyll-a, Chl-a)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고유분광특성(Inherent Optical Properties, IOPs) 모델을 적용하여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NIER, 2015). 2016년에는 2015에서 2016년까지 낙동강수계 합천창녕보 구간에서 측정한 101개 자료를 대상으로 원격으 로 피코시아닌(Phycocyanin, PC)을 정량추정하기 위해 조류 의 고유분광특성(IOPs), 유전자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분광곡선 형태(Spectral Shape Algorithm)를 이용한 3가지 농 도추정 모델을 개발하였고 선행 방법들과 비교하여 국내 담 수역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NIER, 2016). 지난 낙동 강수계의 IOPs 모델은 전체 공간범위 중 일부 구간에 대한 2 년간(’15-’16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개발된 모델로, 정확도 향 상을 위한 추가 자료 취득 및 모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낙동강수계 3개 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구간에서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수계에 적합한 IOPs 모델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금강 및 영산강수계 자료를 추가 취득 하여 각 수계에 적합한 모델로 개선함으로서 IOPs 모델 적용 범위 확대를 검토하고자 한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재료 및 방법

연구에 사용된 ’15-’17년 기간동안의 낙동강 현장자료는 각각 강정고령보 상류와 달성보 하류 약 10 km 내외의 구간 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7년 현장자료 수집 구간은 낙 동강 합천창녕보 상류, 금강 대청호 및 백제보 상류 약 10 km 구간, 영산강 죽산보 상류 약 10 km 이내로 여름철 녹조 발생이 빈번한 구간을 선정하였다(Fig. 1). 모형의 정확도 제 고는 ’16년 대비 ’17년 개선된 모형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고, 전체 자료에서 2:1의 비율로 학습자료와 검증자료로 구분하 여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Fig. 2).

Fig. 1. Location map of study areas, including the sampling sites; (A) Habcheon-changnyeong Weir(HW) and (B) Changnyeong-Haman Weir(CW) in Nakdong River, (C) Juksan Weir(JW) in Yeongsan River, (D) Lake Daechung(DL), Baekje Weir(BW) in Geum River. Red circles denote the sampling sites(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1.jpg
Fig. 2. Schematic summary of this study.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2.jpg

2.2. 현장자료 수집 및 분석

현장측정은 수체의 반사율 산정을 위한 복사량 측정, 조류 색소 분석을 위한 채수, 실내 분광특성 실험을 위한 샘플수 집을 대상으로 하였다.

2.2.1. 원격반사도 측정

채수와 동일한 지점에서 350 ~ 2,500 nm 파장대(VIS/NIR) 영역을 1 nm 간격으로 측정하는 휴대용 분광복사계(Fieldspec4, ASD inc., USA)를 이용하여 수체에서 일어나는 원격반사도 (Remote sensing reflectance, Rrs)를 측정하였다.

수체에서 복사되는 복사량(Ladiance, L(λ))과 복사조도 (Irradiance, E(λ)), 반사율(Reflectance, R(λ))을 각각 측정하 고 다음의 식 (1)로부터 원격반사도를 계산하였다. 여기서, Lw 는 수표면의 복사량이고 r은 Fresnel coefficient로서 0.025 를 적용하였다. 현장에서 LskyLt 는 수체와 대기에 의한 반 사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하학적인 방향을 고려하여 측 정된다. Garaba and Zielinski (2013)에 의하면 대기 복사량 은 태양방위각 90°와 천정각 45° 방향, 수체 복사량은 태양 방위각 90°와 천정각 135°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이 반사효 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원격반사도 는 350-380 nm와 890-900 nm 파장구간을 기준으로 멱함수 기준값을 전체 파장에서 차감하여 바람 및 운량 등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광을 보정하였다(Kutser et al., 2013)

(1)
R rs = L w E d 0 + = L t - r L sky E d 0 +

2.2.2. 물질별 흡수계수 측정

단일 물질별 고유 분광특성은 내부 반사율이 99.9 %로 코 팅 된 적분구(integrating sphere, DRA-Ca-30I)가 장착된 분 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6년과 동일하게 QFT (Quantitative Filter Technique)(Tassan and Ferrari, 1995)을 적용하였다(Fig. 3). 측정된 흡광도는 여과시킨 입자성 물질 에 적용하는 식 (2)를 이용하여 흡수계수로 변환하였다.

Fig. 3. Sample filteration and IOPs measurement using integrating sphere(Right:Tassan and Ferrari (1995))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3.jpg
(2)
a particle λ = 2.303 × OD particle λ / V / A

여기서, 2.303은 10진 로그를 자연로그로 변환하기 위한 계수이고, V는 시료 여과량, A는 시료가 여과된 여지의 면적 이다.

ODCDOM(λ)은 시료를 폴리카보네이트 여지(47 mm, 0.2 μm, Whatman)에 여과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흡광도를 측정 하였으며, 용해물질과 관련된 식 (3)을 용해 흡수계수로 변 환하였다.

(3)
a soluble λ = 2.303 × OD soluble λ / l

여기서, l은 빛이 투과된 거리(= 0.01 m)이며, 최종 ODCDOM(λ) 은 700 ~ 750 nm 파장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후방산란 영향을 보정하였다.

2.2.3. 시료채수 및 수질분석

남조류 농도 분석을 위한 PC 추출용 현장 시료는 수질 분 석을 위한 시료는 1회당 10-15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체 복사 량 측정 직후에 표층수 2 L를 무균채수병에 채수하였다(Fig. 4). 현장 녹조 발생 정도에 따라 10-20 의 표층수를 식물 플랑크톤 네트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150 mL 광구병 채수하 였으며, 냉·암소 조건 운반 후 당일 분석하였다.

Fig. 4. Water sampling and field measurements using portable optic sensor at each stations(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4.jpg

현장 수질항목 측정은 원격반사도 측정지점과 동일한 위치 에서 다항목수질측정기(ProDSS, YSI)를 이용하여 DO, pH, 수온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체 투명도는 secchi disk를 이용하였다.

현장 Chl-a 색소의 농도는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APHA, 2005)를 기초 로 분석하였다.

PC 색소의 추출은 균질화, 동결 및 해동, 고속 원심분리 과 정을 거친 후 상등액을 적당량 분취하여 분광광도계로 620 nm, 652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NIER, 2015; 2016). PC 농도는 다음 식 (4)(Bennett and Bogorad, 1973)를 통해 환산하였다.

(4)
PC mg / m 3 = OD 620 - 0.474 × OD 652 5.34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SS)의 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 험기준(환경부고시 제2016-65호)에 근거하여 수행되었으며, 모든 분석에 관한 전처리는 최대한 시료 채수 당일 수행되도 록 하였다.

2.3. 고유광특성 변환 모델(IOPs Inversion Model)

IOPs 변환 모델은 흡수계수 및 후방산란계수의 물리적 관 계식 (5)에 기초하며(Gordon et al., 1988), Gons et al. (2005) 이 제안한 식 (6)을 이용하여 입자성물질에 의한 후방산란계 수 bb(778)를 계산하였다.

(5)
R rs λ = 0.54 × r rs λ = 0.54 × f Q λ b b λ a λ + b b λ
(6)
b b 778 = r rs 778 a w 778 0.082 - r rs 778

여기서, Rrs(λ)는 수표면 원격반사율, rrs(λ)는 수중 원격 반사율을 의미하며, 수중에서 얻을 수 있는 원격반사율은 수 표면에서보다 0.54배 적다는 가정에 기초한다(Doxaran et al., 2002; Salama et al., 2009). f(λ)는 광 영역 계수, Q(λ)는 광 분산 계수, a(λ)는 흡수계수, b(λ)는 후방산란계수이다. 이때, 수중에서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후방산란은 100% 회 수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Gons et al. (2005)이 가정 하고 제안한 f/Q(778) = 0.082sr-1 값이 적용되었다.

전 파장에서의 후방산란 계수는 bb(λ)는 아래 식 (7), (8), (9)를 이용하여 계산된다(Lee and Carden, 2004).

(7)
b b λ = b bp λ 0 λ 0 λ Y + b bw λ
(8)
Y = 2.0 × 1 - 1.2 exp 0.9 r rs λ 1 r rs λ 0
(9)
b bp λ 0 = b b 778 - b bw 778 0.7198 Y

여기서, bbw(λ)는 Morel (1974)이 제안한 값이 사용되었다.

식 (10)에서 IOPs 변환 시 가정된 계수의 f(λ)와 Q(λ)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709 nm 파장대를 λB 로 놓고 나머지 다른 파장을 λA 로 하는 반사율 비는 다음 식(15)과 같이 설 명된다.

(10)
R rs λ A R rs λ B = b b λ A a λ B + b b λ B b b λ B a λ A + b b λ A

따라서 물 이외 전체물질에 의한 흡수계수인 at-w(λ)는 식 (10)을 대수학적으로 정리하여 식 (1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1)
a t - w λ = R rs 709 b b λ a w 709 + b b 709 R rs λ b b 709 - b b λ - a w λ

여기서, aw(λ)는 20 °C 수온에서 측정된 값을 사용하였다 (Buiteveld et al., 1994).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한 흡수계수 aph(λ)는 at-w(λ)를 통 해 분리 계산되며, aph-pc(675) 추정 시 가정된 at-w(675)≈1.1872at-w(665)는 수정 개선하였다.

Colored Detritus Matter (CDM)에 의한 흡광 계수 aCDM(λ)은 분광학적 기초 이론에 근거하여 PC의 영향을 받지 않는 437 nm 파장을 기준으로 하는 지수함수 식 (12)를 사용하였 다. aCDM(437) = at-w(437) - aph-pc(437) 관계는 Rrs(λ)의 500 nm 이하 파장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큼에 따라 본 연구에서 는 aph-pc(λ)을 통해 추정하는 식으로 개선하였다.

(12)
a CDM λ = a CDM 437 exp - 0.0127 λ - 437

최종 PC 농도는 고유흡수계수(specific absorbtion coefficient) 를 이용하여 아래 식 (13), (14)와 같이 산정되며, 학습자료를 통해 개선된 모형에 검증자료를 적용하여 정확도를 제고하였다.

(13)
a pc 620 = a ph 620 - a ph - pc 620
(14)
PC = a pc 620 a pc 620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원격반사도 분석

3대강 수계에서 산정된 반사율은 수표면의 반사광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Power-fitting 기법을 적용하였다(Kuster et al., 2013). 보정된 반사율은 공통적으로 일반적인 수체에서 나타나는 분광곡선 형태와 같이 700 nm 인근에서 반사, 620 nm 인근에서 PC에 의한 흡수, 675 nm 인근에서 Chl-a에 의 한 흡수가 관찰되었다(Fig. 5).

Fig. 5. Remote sensing reflectance measured in three rivers. Reflectance is power-fitted for removing glint effect(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5.jpg

3.2. IOPs 모형의 개선

각 수계별 모델의 개선은 낙동강 145개, 금강 147개, 영산 강 66개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Table 1). ’17 낙동강 모형은 ’16과 비교하여 학습자료에 대한 개선 정도를 평가하 였고, 금강과 영산강 모형은 적용 오차 평가와 함께 개선 방 향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자료는 ’16년에 구분된 학습, 검증 자료를 기준으로 ’17년 자료를 무작위로 추가하였고, 금강과 영산강 자료는 전체 자료수에서 학습, 검증의 비율을 2:1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Table 1. The number of training and validation data according to each river
Number of data Nakdong River Geum River Yeongsan River
TL* TD VD TL* TD VD TL* TD VD
'17 year 116 68 48 39 22 17 66 44 22
'15~16 years 101 77 24 182 125 57 0 0 0
Total 217 145 72 221 147 74 66 44 22

* TL : Total Data

† TD : Training Data

‡ VD : Validation Data

개선 모델에서는 후방산란 산정 시 ’15 ~ ’17년 취득한 현 장 원격반사도로부터 수체 내 물질들의 강한 흡수특성을 보 이는 437 nm를 λ1로, 산란 특성을 보이는 565 nm를 기준파 장(λ0)으로 결정하고 아래 식 (15)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15)
Y = 2.0 × 1 - 1.2 exp - 0.9 r rs 437 r rs 565

’15 ~ ’17년 취득한 실내 IOPs 측정결과, 675 nm 파장에서 대부분 빛을 흡수하며 CDM의 영향이 0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빛을 흡수하는 파장(675 nm)을 기준으로 식 (16)과 같이 전 파장구간 aph-pc(λ)를 산정 하였다. 여기서, 기준 파장이 되는 aph-pc(675)는 at-w(675) ≈ aph-pc(675)로 가정하고, 다음 (17)과 같이 상관관계식을 적용 하여 추정하였다.

(16)
a ph - pc λ = C 1 λ × a ph - pc λ 1 + C 2 λ
(17)
a ph - pc λ 1 = A × a t - w λ 1 + B

현장 AOPs 조사 시 400 nm에서 500 nm 파장대(청색) 구 간은 수표면 물결 등에 의한 태양광 반사 또는 부유성 입자 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가 크다. 따라서 기타 물질의 간섭을 제외하고 실내에서 측정 된 IOPs를 통해 선택한 437 nm 파 장 흡수계수와 AOPs간의 회귀분석을 통해 식 (18)과 같이 543 nm 파장을 이용한 관계식을 적용하였다.

(18)
a CDM 437 = D × a t - w 543

전 구간 CDM의 흡수계수는 ’17년 추가 획득 자료로부터 개선되었으며(Fig. 6), 지수함수 관계식 (19)를 적용하여 산 정하였다.

Fig. 6. Comparison of normalized CDM absorption coefficient at 437 amongBricaud et al. (1981),KIOST (1999), ’16 and ’17 optimized model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6.jpg
(19)
a CDM λ = a CDM 437 exp - 0.0135 λ - 437

최종 모형에 적용된 각 수계별 변수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Base wavelength and parameters for IOPs-IM of each rivers (NIER, 2017)
River λ1 A B C α*pc(620) (m2/mg PC)
’16 Nakdong 665 1.182 - - 0.0015
’17 Nakdong 675 0.983 -0.113 2.9029 0.0018
’17 Geum 675 0.952 -0.122 2.3180 0.0018
’17 Yeongsan 675 0.948 -0.181 2.6617 0.0009

3.3. 개선 모형(IOPs-IM)의 적용 결과

개선된 ’17년 IOPs-IM에 학습자료를 적용한 결과는 ’16년 모형에 비해 RMSE, MAE는 각각 감소하였으나, MRE는 증 가하였다(Fig. 7). 이는 추가 획득된 ’17년 자료의 다수가 낮 은 PC 농도값을 가짐에 따라 700 nm 파장대 이후에 발생하 는 후방산란 영향으로 낮은 수치가 측정되어 산정 오차가 증 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Comparison of modeled PC concentration, that were estimated using ’16 and ’17 IOPs-IM respectively, with measured ones of training data set of Nakdong River. Gray dotted lines are 1:1 lines(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7.jpg

’17년에는 금강과 영산강수계에 적합한 IOPs-IM으로 각각 보정자료를 적용한 결과는 Fig. 8과 같다.

Fig. 8. Comparison of modeled PC concentration, that were estimated using the IOPs-IM, with measured ones of training data set of Geum and Yeongsan River respectively. Gray dotted lines are 1:1 lines(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8.jpg

IOPs-IM 구조상 700 nm 이후 파장대에서 매우 높게 측정되 어 후방산란 산정 오차를 증가시키는 경우, 추정된 PC 농도값 이 높게 산정된다. 따라서 ’16년 금강 백제보에서 획득 된 8월 12일 1개 지점, 8월 19일 1개 지점 값이 결과에 큰 오차를 가져 왔으나, 2개 지점을 제외한 결과는 R2 0.83, RMSE 35.1 mg/m3, MAE 28.4 mg/m3, MRE 58.5 %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영산강 수계는 높은 PC 농도 지점에서 모형이 과소 추정 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획득 자료수가 적고 시기별 측정 지점간 농도 변화폭이 큼에 따라 모형이 잘 추 정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3.4. IOPs-IM 검증

낙동강의 ’17년 추가 생산된 자료를 통해 개선된 각 모형 은 검증자료를 적용하여 평가되었다. 모형은 ’16년에 비해 R2 값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RMSE와 MAE 수치는 향상되었 다(Table 3). 모형의 ’16년 ’17년 검증자료에 대한 비교그래 프는 Figure 9와 같다. 금강의 RMSE는 다른 모형에 비해 다 소 높은 것으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16년 8월 19일 취득 자 료 중 1개 지점에서 후방산란 산정의 기준이 되는 778 nm 파장 값이 매우 높게 측정됨에 따라 과대추정한 것으로 나타 났다. 1개 지점 값을 제외한 결과는 R2 0.68, RMSE 42.9 mg/m3, MAE 28.0 mg/m3, MRE 58.2 %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영산강의 자료는 금강에 비해 MRE가 낮으나, RMSE와 MAE는 높게 나타났다. 영산강은 높은 PC 농도를 가지는 특 정지점 자료로 인해 상대적 오차가 컸다(Fig. 10). 가장 높은 PC 농도를 가지는 자료를 제외한 RMSE는 60.2 mg/m3로 절 반 가까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해당 자료는 취득상 오류 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able 3. Each model results
River Validation Data Set
N R2 RMSE* MRE* MAE*
’16 Nakdong 24 0.84 22.3 232.1 17.1
’17 Nakdong 72 0.75 17.5 297.5 12.8
’17 Geum 74 0.83 152.6 1889.2 45.0
’17 Yeongsan 22 0.93 106.4 185.7 61.9

* Units of RMSE , MRE, MAE are mg/m3, %, mg/m3 respectively.

Fig. 9. Comparison of modeled PC concentration, that were estimated using three models, with measured ones of validation data set of ’16 and ’17 Nakdong River respectively. Gray dotted lines are 1:1 lines(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9.jpg
Fig. 10. Comparison of modeled PC concentration, that were estimated using three models, with measured ones of validation data set of Geum and Yeongsan River respectively(NIER, 2017).
../../Resources/kswe/KSWE.2019.35.6.589/JKSWE-35-589_F10.jpg

금강과 영산강 자료의 모형 적용 결과는 낙동강에 비해 전 반적으로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모형 개발을 위 한 자료의 질과 양의 한계로 판단된다. 금강의 자료는 전체 양에 비해 낮은 PC 농도를 가지는 자료가 대부분이고, 영산 강은 현상에 대해 통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자료수가 절대 적으로 부족하다. 향후 두 수계의 안정적인 원격 조류 모니 터링을 위해서는 고-저농도 구간 고른 분포를 가지는 자료를 충분히 획득한 후, 모형이 추가 개선되어야 한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 남조류의 원격모니터링을 위해 ’16년 개발된 낙동강수계 IOPs모델을 개선하고, 금강과 영산 강수계 모델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모델 개선 및 추가 제안 을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낙동강수계 3개 보(강정고 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금강(대청호, 백제보), 영산강(죽산보) 구간에서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 및 검증자료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자료를 통해 개선된 낙동강수계의 모델(IOPs-IM)은 ’16년에 비해 평균 RMSE 가 16.4 %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 로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MRE 수치는 일 부 모델에서 증가하였는데, 모형 개발과 검증에 사용된 자료 대부분이 낮은 PC 농도 값을 가지는 자료임에 따라 상대오 차가 크게 산정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강수계의 MRE는 다른 수계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 는 낙동강수계의 자료와 유사하게 낮은 PC 농도를 가지는 자료가 대부분이고, 타 수계에 비해 상대적인 추정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산강수계는 타 수계에 비해 자료 수가 적으므로 높은 PC 농도를 가지는 자료의 RMSE가 전 체 평균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MRE는 타 수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낮은 농도구간 추 정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개선 모형에 검증자료를 적용한 결과, 낙동강수계의 경우 ’16년에 비해 평균 RMSE 17.7 %, MRE 16.4 %로 감소하며 정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강수계의 경우 MRE가 400 % 이상으로 높게 산정되었고, 영산강수계는 RMSE가 100 mg/m3 이상으로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금강수 계는 낮은 PC 농도값을 가지는 자료가 대부분이고, 영산강 수계는 자료수의 한계 및 농도의 범위가 넓음에 따라 절대 평균 오차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17년 낙동강 PC 원격정량추정 모델은 ’16년 모형보다 추정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금강과 영산강 모델은 구축 자료가 낮은 PC 농도에 편향되어 있거나 자료 수가 부족하여 다소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기존 원격추정 모델을 국내 수 계에 적합하게 개선하여 활용도를 검증하였으나, 각 수계별 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속적으 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향후 각 수계별로 자료를 주기적으 로 획득하여, 개선 된 모델을 확대 적용함으로써 남조류 발 생 정량추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지원을 받 아 수행하였습니다(NIER-2017-03-01-007).

References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2005,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 
Bennett A., Bogorad L., 1973, Complementary chromatic adaptation in a filamentous blue-green alga, Journal of Cell Biology, Vol. 58, No. 2, pp. 419-435Google Search
3 
Bricaud A., Morel A., Prieur L., 1981, Absorption by dissolved organic matter of the sea (yellow substance) in the U.V. and visible domai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26, pp. 43-53Google Search
4 
Buiteveld H., Hakvoort J.H.M., Donze M., 1994, The optical properties of pure water, Ocean Optics XII,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pp. 174-183
5 
Bukata R.P., 2013, Retrospection and introspection on remote sensing of inland water quality: “Like Déjà Vu all over again”,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Vol. 39, pp. 2-5Google Search
6 
Doxaran D., Froidefond J.M., Lavender S., Castaing P., 2002, Spectral signature of highly turbid waters- Application with SPOT data to quantify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1, pp. 149-161Google Search
7 
Garaba S. P., Zielinski O., 2013, Methods in reducing surface reflected glint for shipborne above-water remote sensing, Journal of the European Optical Society, Vol. 8, No. 13058, pp. 1-8Google Search
8 
Gons H.J., Rijkeboer M., Ruddick K.G., 2005, Effect of a waveband shift on chlorophyll retrieval from MERIS imagery of inland and coastal water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Vol. 27, No. 1, pp. 125-127Google Search
9 
Gordon H.R., Brown O.B., Evans R.H., Brown J.W., Smith R.C., Baker K.S., Clark D.K., 1988, A semianalytic radiance model of ocean colo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3, No. D9, pp. 10909-10924Google Search
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1999, [Korean Literature], Development of red-tide and water turbidity algorithms using ocean color satellit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11 
Kutser T., Vahtmäe E., Paavel B., Kauer T., 2013, Removing glint effects from field radiometry data measured in optically complex coastal and inland wat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33, pp. 85-89Google Search
12 
Lee Z.P., Carder K.L., 2004, Absorption spectrum of phytoplankton pigments derived from hyperspectral remote-sensing reflectanc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9, pp. 361-368Google Search
13 
Morel A., 1974, Optical properties of pure water and pure sea water, optical aspects of oceanography, Academic Press, pp. 1-24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Korean Literature], A study on romote monitoring of algal distribution using hyperspectral imagery in lake Uiam, 11-1480523-002078-01, NIER-RP2014-20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5, [Korean Literature],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of algal distribution using inherent optical properties, 11-1480523-002555-01, NIER-RP2015-27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Korean Literature],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of algal distribution using inherent optical properties (II), 11-1480523-002960-01, NIER-RP2016-3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7, [Korean Literature],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of algal distribution using inherent optical properties (’17), 11-1480523-003279-01, NIER-RP2017-20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8 
Palmer S.C., Kutser T., Hunter P.D., 2015, Remote sensing of inland waters: Challenges, progress and future direc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57, pp. 1-8Google Search
19 
Salama M.S., Dekker A., Su Z., Mannaerts C.M., Verhoef W., 2009, Deriving inherent optical properties and associated inversion-uncertainties in the Dutch lake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3, pp. 1113-1121Google Search
20 
Tassan S., Ferrari G.M., 1995, An alternative approach to absorption measurements of aquatic particles retained on filte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0, No. 8, pp. 1358-1368Google Search